서위 공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위 공제(537년 ~ 557년)는 중국 남북조 시대 서위의 마지막 황제이다. 서위 문제의 아들로, 548년 제왕에 봉해졌으며, 554년 형 서위 폐제가 우문태에 의해 폐위되자 황제로 옹립되었다. 재위 기간 동안 실질적인 권력은 우문태에게 있었으며, 556년 우문태 사후에는 우문호의 강요로 우문각에게 선위하고 송공에 봉해졌으나 곧 살해되었다. 연호는 사용하지 않았으며, 554년부터 556년까지를 각각 원년, 2년, 3년으로 칭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37년 출생 - 북제 무성제
북제 무성제는 동위의 실력자 고환의 아들로, 북제의 제4대 황제로서 사치와 폭정을 일삼다가 아들에게 황위를 물려주고 사망했다. - 북주 - 서위
서위는 535년 우문태가 북위 효무제를 독살하고 원보거를 옹립하여 건국되었으며, 우문태 사후 우문각이 북주를 건국하면서 멸망한, 짧은 기간 존재했던 북조 왕조로, 불교 미술의 융성기를 이루었으며, 군사력 강화에 힘썼다. - 북주 - 당 고조
당 고조 이연은 566년에 태어나 635년에 사망한 당나라의 초대 황제로, 수나라의 혼란을 틈타 반란을 일으켜 당나라를 건국하고 재위 기간 동안 수나라 제도를 복원하며 반란 세력을 진압하다가 아들 이세민에게 황위를 물려주고 물러났다. - 서위 - 서위 폐제
서위 폐제 원흠은 북위 효문제의 손자이자 서위 문제의 장남으로, 우문태와의 갈등으로 폐위 및 살해된 서위의 제2대 황제이다. - 서위 - 서위 문제
서위 문제(507~551)는 남북조 시대 서위의 초대 황제로서, 북위 황족 출신으로 우문태에 의해 옹립되었으나, 재위 기간 동안 우문태의 실권 장악과 동위와의 대립으로 불안정한 통치를 하였다.
서위 공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서위 공제 |
중국어 이름 | 西魏恭帝 |
로마자 표기 | Xī Wèi Gōng Dì |
가문 | Tuòbá(拓拔) (원래는 Yuán(元)이었으나 554년에 변경됨) |
왕조 | 서위 |
즉위 정보 | |
직위 | 서위의 황제 |
재위 기간 | 554년 3월경 – 557년 2월 14일 |
선임자 | 폐제 |
후임자 | 없음 |
섭정 | 우문태(554–556) 우문각 & 우문호(556–557) |
개인 정보 | |
휘 | 초기: 원곽(元廓), 554년에 탁발곽(拓跋廓)으로 변경 |
시호 | 공황제(恭皇帝; "공손한") |
출생 연도 | 537년? |
사망 연도 | 557년 |
아버지 | 문帝 |
배우자 | 황후 약간씨 |
2. 배경
554년, 폐제 원흠이 우문태를 제거하려는 음모가 발각되어 폐위되자, 우문태는 원곽을 옹립했다. 이와 동시에 우문태는 황실의 성씨를 원(元)씨에서 다시 탁발씨로 바꾸어 북위 효문제가 496년에 명한 선비족 성씨의 한족 성씨로의 개명을 되돌렸다.
2. 1. 가계와 초기 생애
서위 문제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머니의 이름은 역사에 기록되어 있지 않다. 548년 (대통 14년)에 제왕으로 봉해졌다. 독고신 휘하에서 서위의 12대 장군 중 한 명으로 복무했으며,[4] 여간회 장군의 딸 여간씨와 결혼하여 아내이자 공주로 삼았다.관계 | 이름 |
---|---|
아버지 | 원보거 |
어머니 | 미상 |
아내 | 여간씨 (여간회 장군의 딸) |
2. 2. 황제 즉위
554년에 형인 폐제가 폐위된 뒤 우문태(宇文泰)에 의해 옹립되었다. 즉위 후 폐제처럼 개원하지 않고 다만 원년이라고 함으로써 연호를 사용하지 않았다. 즉위한 뒤 원씨를 다시 복성인 탁발씨(拓跋氏)로 고쳤다.[6]556년 우문태가 죽자 그 아들인 우문각(宇文覺)이 뒤를 이었다. 오래지 않아 우문각의 사촌형인 우문호(宇文護)가 공제에게 우문각에게 제위를 선양하라고 했고, 공제는 우문각에게 선양한 뒤 퇴위했다.[6]
557년 우문각이 북주(北周)를 건국하고 천왕(天王)으로 즉위했다. 이어서 공제를 송공(宋公)에 봉했으나, 얼마 후 사람을 시켜 공제를 죽였다.[6]
3. 치세
공제는 아버지와 형제보다도 더욱 무력한 모습을 보였고, 권력은 우문태의 손에 남았다. 공제는 부인 낙간 공주를 황후로 책봉했다. 554년, 우문태는 폐위된 폐제를 독살했다. 그해 말, 우문태가 파견하고 우진(于謹)이 지휘하는 군대가 경쟁국인 양나라의 수도 강릉(江陵, 현대의 징저우, 후베이)을 함락하여, 원제를 사로잡아 처형했다. 555년 봄, 공제는 소차를 원제의 조카로 양나라 황제(선제)로 옹립했지만, 소차는 대부분의 양나라 장군과 관리들에게 인정받지 못했고, 대신 북제의 지지를 받는 소원명을 황제로 인정했다. (소차의 국가는 역사적으로 서량으로 알려져 있다.)
555년, 우문태는 회안왕 탁발육(拓拔育)에게 공제에게 황족의 작위를 공작으로 강등하자는 제안을 제출하게 했고, 공제는 이를 승인했다. 556년 봄, 우문태는 주나라의 정부 구조에 따라 정부 구조를 재편성하고자 했고, 이에 따라 황실 정부는 6개 부서로 재편성되었다.
556년 가을, 우문태는 북부 지방을 순시하던 중, 견둔산(牽屯山, 현대의 구위안, 닝샤)에서 병을 얻었다. 그는 조카 우문호를 불러 국정과 그의 아들들을 위탁했다. 우문태는 곧 사망했고, 그의 14세 아들 우문각이 작위를 이어받았으며, 우문호는 국정을 장악했다. 공제는 이후 우문각에게 주공의 더 높은 작위를 부여해야 했다.
557년 봄, 우문호는 우문각이 젊다는 점을 들어 그의 권위를 확립하기 위해 황제 자리에 올라야 한다고 생각했고, 공제에게 우문각에게 양위하도록 강요하여 서위는 멸망하고 북주가 시작되었다.
3. 1. 서위의 실질적 지배자, 우문태
554년 형 폐제가 폐위된 뒤 우문태(宇文泰)에 의해 옹립되었다. 문제 사후 그의 형인 원흠이 즉위한 후 우문태의 권력 장악은 551년에 더욱 굳건해졌다.공제는 아버지와 형제보다도 더욱 무력한 모습을 보였고, 권력은 우문태의 손에 남았다. 554년, 우문태는 폐위된 폐제를 독살했다. 그해 말, 우문태가 파견하고 우진(于謹)이 지휘하는 군대가 경쟁국인 양나라의 수도 강릉(江陵, 현대의 징저우, 후베이)을 함락하여, 양나라의 원제를 사로잡아 처형했다. 555년 봄, 공제는 소차를 원제의 조카로 양나라의 황제(선제)로 옹립했지만, 소차는 대부분의 양나라 장군과 관리들에게 인정받지 못했고, 대신 북제의 지지를 받는 소원명을 황제로 인정했다. (소차의 국가는 역사적으로 서량으로 알려져 있다.)
555년, 우문태는 회안왕 탁발육(拓拔育)에게 공제에게 황족의 작위를 공작으로 강등하자는 제안을 제출하게 했고, 공제는 이를 승인했다. 556년 봄, 우문태는 주나라의 정부 구조에 따라 정부 구조를 재편성하고자 했고, 이에 따라 황실 정부는 6개 부서로 재편성되었다.
556년 가을, 우문태는 북부 지방을 순시하던 중, 견둔산(牽屯山, 현대의 구위안, 닝샤)에서 병을 얻었다. 그는 조카 우문호를 견둔산으로 불러 국정과 그의 아들들을 우문호에게 위탁했다. 그는 곧 사망했고, 우문태의 14세 아들 우문각이 그의 작위를 이어받았으며, 우문호는 국정을 장악했다. 공제는 이후 우문각에게 주공의 더 높은 작위를 부여해야 했다.
3. 2. 양위와 서위의 멸망
556년 우문태가 죽자 그의 아들인 우문각(宇文覺)이 뒤를 이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우문각의 사촌형인 우문호(宇文護)가 공제에게 제위를 넘겨주라고 강요했고, 공제는 이에 따랐다.[6]557년 우문각이 북주를 건국하고 천왕(天王)으로 즉위했다. 공제는 송공(宋公)에 봉해졌으나, 얼마 후 우문호는 사람을 시켜 공제를 죽였다.[6] 이로써 서위는 멸망했다.
공제의 재위 기간 동안 연호는 사용되지 않았으며, 후세 사서에서는 554년, 555년, 556년을 "서위 공제 원년, 2년, 3년"으로 부르고 있다.
4. 죽음
유웬 쥐에(샤오민 황제)는 처음에는 투오바 콰이를 송공으로 봉했다. 그러나 투오바 콰이가 황위를 넘겨준 지 두 달도 채 되지 않아 살해당했다. 그의 부인이자 전 약간 황후는 비구니가 되었다.
5. 연호
6. 가계
항목 | 내용 |
---|---|
아버지 | 서위 문제 |
부인 | 약간 황후 (554년 추존) |
자녀 | 탁발추 (555년 ~ 557년 사망), 장남, 추정상 아버지와 함께 사망 |
참조
[1]
간행물
Bei Shi
0554-02-18
[2]
서적
Book of Zhou
0557-02-14
[3]
간행물
Zizhi Tongjian
0557-04-09
[4]
문서
Later his surname was changed to Tuoba
[5]
문서
Originally surnamed Tuoba but had it changed to Yuan
[6]
서적
資治通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